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노도강 아파트 용인, 동탄, 수원이랑 대체 무슨 차이길래?

부동산.경제 정보

by 부자중개사 2025. 5. 15. 19:04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일산동 부자 부동산, 부자 공인중개사 사무소, 부자 중개사입니다. 노도강 뜻은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를 일컫는 말인데요. 같은 서울이라도 양극화된 집값으로 강남과 늘 대비되는 지역입니다.

 

강남뿐만 아닌 서울외곽 경기도권과도 비교가 되기도 하는데요. 대표적인 예가 동탄, 용인, 수원입니다. 대체 어떤 차이가 있길래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대표적인 서울 권역별 약칭


노도강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 서울 동북권, 저평가 지역 이미지, 재개발/재건축 기대
금관구 금천구, 관악구, 구로구 서울 서남권, 중저가 아파트 밀집, 직주근접 수요 있음
강남3구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서울 부동산 핵심지, 학군·교통·브랜드 단지 집약
마용성 마포구, 용산구, 성동구 서울 도심~강북권 신흥 인기지역, 개발 호재 풍부
성북강 성북구, 강북구 다소 낙후됐지만 개발 기대 있는 지역, 일부에서는 '성도강'도 사용
강서노 강서구, 노원구 일부 커뮤니티에서 사용, 상대적으로 외곽 위치
도성노 도봉구, 성북구, 노원구 전철 1호선, 4호선 인접, 중저가 아파트 분포

 

공식 행정 구역은 아니고, 부동산 시장이나 커뮤니티(예: 부동산 카페, 블로그, 유튜브)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비공식 용어입니다. 지역을 묶는 기준은 주거 특성, 가격대, 교통망, 개발 호재 유무, 이미지 등이 반영됩니다.


노도강 아파트 시세 및 집 값 정체 원인

1. 강남 접근성: 직결 노선 부재

 

  • 강남까지 직결되는 지하철 노선이 없음. 대부분 2~3번 환승을 해야 함.
    • 예: 노원구→(7호선)→건대입구→(2호선 환승)→강남
  • 반면, 수원·동탄·용인은 GTX, 광역버스, SRT 등으로 강남 접근이 더 빠름.
    • 동탄 → 삼성역(GTX-A, 2028 예정) 약 20분.
    • 용인 수지·기흥 → 광역버스나 분당선으로 강남 접근 (교통 정체를 감안해도 효율적)
  • 용인 기흥에 실거주해 본 저도 광역버스 한 번이면 강남역에 바로 도착하는 게 피로도가 덜 했습니다. 자가운전으로는 수원, 용인, 동탄도 매우 힘들지만 대중교통 면에서는 접근성이 좋다 느껴졌습니다.

2. GTX 등 광역교통망 소외

 

  • 노도강 지역은 GTX-A/B/C 노선에서 제외됨.
  • 수도권 외곽은 GTX, 광역철도, 간선도로망이 적극 반영되어 개발 중.
    • 특히 동탄은 GTX-A 수혜 1순위, 수원은 수인분당선·신분당선, 용인은 광역버스 + 신분당선이 강남 접근의 핵심 루트.

3. 도로 교통망의 제한

 

  • 노도강은 강북 지역이라 한강 이남으로 진입하려면 교량을 건너야 함, 교통 병목이 심함.
    • 내부순환로·동부간선도로 등의 병목 구간 존재.
  • 반면 수원·동탄은 경부고속도로, 용서고속도로, 동탄대로 등 간선도로망을 타고 강남까지 차량 진입이 비교적 수월.

 

4. 인식과 기대치의 문제

  • 수원·용인·동탄은 신도시 이미지가 강해서, 계획적인 교통 인프라가 동반된 지역.
  • 노도강은 상대적으로 낙후된 이미지, 낡은 도시 인프라, 좁은 도로망 등이 있어 접근성이 체감상 더 나쁘게 여겨짐.

5. 생활권의 차이

 

  • 동탄·용인 등은 아예 강남과 연계된 생활권으로 설계됨.
  • 노도강은 강북 중심 생활권이라, 강남과의 연결성이나 의존도가 애초에 낮았음.

노원구: 광역 교통망 확장과 도로 개선

최근 지속적으로 교통망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 GTX-C 노선 정차역 확보
    • GTX-C 노선이 인근 창동역(도봉구)과 광운대역(월계동)에 정차할 예정으로, 노원구 주민들의 강남권 및 경기 남부 지역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경전철 동북선 개통 예정
    • 경전철 동북선이 2026년 개통을 목표로 공사 중이며, 상계역에서 왕십리까지 환승 없이 25분 만에 이동 가능해져 동북권 주민들의 이동 편의가 크게 높아질 전망입니다. 
  3.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이 진행 중으로, 월계 IC(노원)에서 대치 IC(강남)까지 이동 시간이 현재 50분에서 10분대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울 25개 자치구 특징 요약


강남구 최고급 주거지, 학군 중심 강남3구 중 최상위, 고가 아파트 밀집
서초구 법조타운, 양재 R&D 강남보다 안정적 이미지, 고급 주거지
송파구 잠실·위례, 개발 잠재력 강남3구 중 가장 확장성 높음
강동구 둔촌주공, 고덕 신도시 대규모 재건축, 신축 공급 활발
광진구 건대, 중곡 재정비 입지는 좋으나 노후단지 많음
중랑구 저평가 지역, 7호선·GTX-B 개발 호재 많으나 체감 낮음
동대문구 청량리 중심, 역세권 개발 청량리역 중심 재개발 활발
성북구 대학가, 정릉·장위 재개발 가격대 낮고 재개발 이슈 있음
강북구 북한산 인접, 낙후 이미지 노도강 중 가장 저평가
도봉구 창동 개발, GTX-C 예정 교통 개선 기대, 노후 주거지
노원구 중계 학군, 상계 뉴타운 노도강 중 인프라 양호
은평구 불광·녹번 재개발, 서북권 중심 교통 개선 기대(고양은평선)
서대문구 연세대, 신촌 중심 교육·교통 우수, 중산층 선호
마포구 공덕·홍대 상권, 개발 완료 젊은층 인기, 브랜드 아파트 밀집
용산구 한남·이촌동, 국제업무지구 예정 미래 가치 최고 기대 지역
중구 명동·을지로, 업무지 중심 상업 밀집, 주거 기능 약함
종로구 경복궁·정부청사, 역사 중심 인프라는 좋으나 주거 비중 낮음
성동구 성수동·왕십리, 개발 완료 마용성 중 가장 안정적
동작구 흑석·사당, 한강뷰 단지 인기 한강권 신흥 주거지, 재개발 활발
관악구 서울대, 원룸 밀집 직주근접 저가 수요, 재개발 진행 중
금천구 G밸리, 공업지역 다수 금관구 중 가장 산업 성향 강함
구로구 디지털단지, 구로차량기지 이전 신도림~개봉, 입지차 큼
양천구 목동 학군, 재건축 기대 교육 중심 중산층 주거지
강서구 마곡지구, 김포공항 대규모 신축, 공급 과잉 우려도 있음
강남구 재차 강조: 고급 주거, 비즈니스 부동산 핵심지, 고가 거래 활발

 

 

 

 

노도강에 살더라도 잘만 다들 삽니다. 내가 사는 곳의 가치는 내가 정하는 법입니다! 객관적으로 다수가 가치 있다 판단하는 곳은 그 이유를 알고 공부하면 되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