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일산동 부자 부동산, 부자 공인중개사 사무소 부자 중개사입니다. 아파트 이름이 가면 갈 수록 왜이렇게 복잡해지는지 중개사인 저도 놀라울 이름들이 많아 뜨악하는 순간이 많아지는데요. 왜 이렇게 지을 수 밖에 없는 지 뜻은 무엇인지 알아볼게요!
아파트 이름이 요상하고 복잡해지는 이유
- 고급화 전략: 건설사들은 아파트 이름에 외국어나 어려운 용어를 사용하여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구축하고, 이는 분양가 상승 및 차별화 전략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브랜드 강조: 건설사들은 자사의 브랜드(힐스테이트, 푸르지오 등)를 이름에 포함시켜 인지도를 높이고, 향후 다른 프로젝트에도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하고자 합니다.
- 지역 특성 반영: 특정 지역의 랜드마크, 자연환경, 역사 등을 이름에 포함시켜 상징성을 부여하고, 입주민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주려는 의도입니다. (예: 강, 호수, 공원 등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리버뷰, 레이크뷰, 센트럴, 파크뷰, 스위트 등 조합)
- 차별화 및 경쟁 심화: 경쟁이 치열한 부동산 시장에서 눈에 띄는 이름을 사용하여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고, 다른 아파트 단지와 차별화하려는 전략입니다.
- 소비 심리: 일부에서는 길고 어려운 이름이 오히려 비싸보이고 세련되고 가치 있어 보인다는 소비 심리가 작용하기도 합니다.
외국어 및 합성어 사용 사례와 그 뜻
- 힐스테이트 메디알레: (서울 은평구) 현대건설 브랜드 + 라틴어 '중심(mediale)'
- 더샵 당리센트리체: (부산 사상구) 더샵 브랜드 + '중앙(central)'과 '부유한(riche)'의 합성어
- 레이크파크, 어반포레, 리버뷰, 센트럴마린: 입지적 특징 + 영어 단어 조합 (호수, 숲, 강, 바다)
- 에듀리체: 교육(Edu) + 부유한(Riche) 합성어 (학군 강조)
- 원종 휴먼빌 클라츠: (경기 부천) 휴먼빌 브랜드 + 'Close'와 'A To Z' 합성어 (서울 근접성 및 신도시 프리미엄 강조)
- 라비온드: (전북 전주) 'Large'와 'Beyond' 합성어 (거대한 규모와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제시)
- 래미안 원페를라: (서울 서초구) 래미안 브랜드 + 'One'과 스페인어 '진주(Perla)' 합성어 (단 하나의 진주)
- 푸르지오 라디우스파크: (서울 성북구) 푸르지오 브랜드 + 프랑스어 '빛나는(radieuse)' + '공원(park)' (빛나는 공원)
분류
- 외국어/조합형 이름:
- ◎◎ 포레나 라 센트라: '숲'을 의미하는 '포레(Fore)'와 '중심'을 의미하는 '센트라(Centra)'의 조합
- ◎◎ 에일린의 뜰 센트럴 포레: 영문 브랜드명과 '숲'을 의미하는 외국어 조합
- ◎◎ 써밋 에듀파크: 최상위(Summit), 교육(Edu), 공원(Park)의 영어 단어 조합
- ◎◎ 디에트르 힐카운티: '집'을 의미하는 프랑스어(Être) 변형과 언덕(Hill), 지역(County)의 조합
- ◎◎ 르엘 라피네: 프랑스어 '그녀(Elle)'에 '세련된(Raffiné)'을 조합한 이름
- ◎◎ 리버파크 테라스: 강(River), 공원(Park), 테라스(Terrace)의 영어 조합
- ◎◎ 오피스텔 드 아미엘: 프랑스어 '친구(Ami)'에서 파생된 듯한 이름
- 길고 나열적인 이름:
- ◎◎ 위례 자이 더 시티: 브랜드명, 지역명, 추가 수식어의 나열
- ◎◎ 힐스테이트 리슈빌 강남: 브랜드명 두 개와 지역명 조합
- ◎◎ e편한세상 시티 과천 센터포인트: 브랜드명, 도시명, 중심 지점을 강조하는 용어 조합
- 추상적이거나 의미를 알기 어려운 이름:
- ◎◎ 아크로 리버뷰: '정점(Acro)'과 '강 조망(River View)'의 조합이지만, 전체적인 의미가 추상적임
- ◎◎ 래미안 퍼스티지: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려 하지만, 단어 자체의 의미가 직접적으로 와닿지는 않음
외래어 표기법 중요성이 커지는 이유
외래어 표기법은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통일된 규칙입니다. 이는 정보의 혼란을 줄이고 정확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공무원들은 행정 업무를 처리할 때 이러한 외래어 표기법을 숙지하고 정확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공무원이 행정적으로 주소를 기입할 때 외래어를 잘못 표기하는 것은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행정 업무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저해하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따라서 모든 공무원은 외래어 표기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용하여 오류 없는 행정 처리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집 관련 서류에 표기된 외래어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다시 2음절 단위 oo아파트로 기억하기 좋고 친근한 우리 한글로 지어지면 좋겠습니다. 아파트 이름만 고급화 한다고 고급화가 되는게 아니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