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왕고래 마귀상어 그 다음도 또 나오면 좋겠네!

부동산.경제 정보

by 부자중개사 2025. 2. 3. 19:53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일산동 부자 공인중개사 사무소, 부자 중개사입니다. 오늘 경제기사에서 마귀상어가 나왔다길래 무슨 말이지 싶었습니다. 지난번에는 대왕고래라는 호칭을 붙이고 오늘은 마귀상어라는 호칭을 붙이는 걸 보면서 왜 붙이는지 궁금했습니다.


1. 호칭을 붙이는 이유

동해에서 유전이 발견되었을 때 '대왕고래'나 '마귀상어' 같은 호칭을 붙이는 이유는 주로 다음과 같은 배경에서 비롯됩니다:

  1. 상징성과 임팩트: '대왕고래'나 '마귀상어' 같은 이름은 그 규모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대왕고래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동물로, 거대한 규모를 상징하며, 마귀상어는 강력하고 위협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유전의 규모나 경제적 가치를 강조하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2. 홍보 효과: 독특하고 기억에 남는 이름을 사용하면 언론이나 대중의 관심을 더 쉽게 끌 수 있습니다. 이는 해당 유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관련 산업이나 국가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기술적 난이도 또는 특수성: 유전 개발이 기술적으로 어렵거나 특별한 조건이 필요한 경우, 이를 강조하기 위해 상징적인 이름을 붙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깊은 해저나 극한 환경에서 발견된 유전이라면 그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이런 이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문화적 또는 지역적 배경: 해당 지역의 문화나 역사, 전설 등에서 영감을 받아 이름을 붙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지역 주민이나 관련 당사자들에게 친밀감을 주고, 프로젝트에 대한 지지를 얻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름은 단순히 유전의 존재를 알리는 것 이상으로, 그 가치와 의미를 강조하고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한 전략적인 선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호칭을 붙인 사람

그럼 이 이름은 대체 누가 붙인 걸까요?

'대왕고래'나 '마귀상어'와 같은 호칭은 일반적으로 정부 기관, 해양자원 개발 관련 기업, 또는 연구기관에서 붙인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한국에서 동해 유전 개발과 관련된 프로젝트는 주로 한국석유공사(KNOC, 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나 한국가스공사(KOGAS) 같은 국영 기업이 주도하며, 이들 기관이 유전의 규모나 잠재력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이런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과거 동해에서 발견된 가스 하이드레이트나 해저 유전에 대해 '대왕고래'라는 이름을 사용한 사례가 있습니다. 이는 해당 자원의 규모가 매우 크고,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였습니다.

또한, 언론이나 미디어에서도 이러한 호칭을 사용해 보도함으로써 대중의 관심을 끌고,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부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확히 누가 처음 명명했는지는 공식 발표나 보도 자료를 확인해야 알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정부 산하 기관이나 에너지 개발 관련 기업이 주체가 되어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3. 동해 유전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동해에서 유전이나 가스 하이드레이트와 같은 자원이 발견되거나 개발 소식이 전해지면, 이와 관련된 기업들의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업들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1. 한국석유공사 

  • 국내외 유전 개발 및 탐사를 주도하는 국영 기업입니다.
  • 동해 유전 개발 소식이 나오면 KNOC의 주가가 급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KNOC는 비상장 기업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주가 변동은 없지만,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협력사나 계열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한국가스공사 

  • 천연가스 개발 및 공급을 담당하는 국영 기업입니다.
  • 동해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나 천연가스가 발견되면 KOGAS의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에너지 및 자원 개발 관련 상장 기업

  • 삼성엔지니어링, 대우건설, GS건설 등 대형 건설 및 엔지니어링 기업들은 해양 플랜트 설계 및 건설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과 같은 조선업체도 해양 플랜트나 탐사 장비 제작에 참여할 수 있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정유 및 화학 기업

  •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S-OIL 등 정유사들은 원유 공급이 늘어나면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이들 기업의 주가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지원 및 부품 기업

  • 유전 개발에 필요한 장비나 기술을 제공하는 중소기업들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양 탐사 장비, 파이프라인, 센서 등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해당됩니다.

6. 에너지 관련 ETF 및 펀드

  • 에너지 자원 개발 소식은 에너지 섹터에 투자한 ETF(상장지수펀드)나 펀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투자 관련 주의사항

  • 유전 개발은 장기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주가 변동보다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 실제 자원의 매장량, 채굴 가능성, 경제성 등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주가가 과도하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투자 시 신중해야 합니다.

따라서 동해 유전 개발 소식이 나오면 위에 언급된 기업들의 주가를 주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관련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는 기업들은 더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바다는 정말 무한한 생명과 자원을 숨겨둔 보물이라 생각합니다. 대왕고래, 마귀상어 그다음 또 더 나오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