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모듈러 건축 기법 모듈러 주택 궁금증과 장단점

부동산.경제 정보

by 부자중개사 2025. 3. 12. 17:35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일산동 부자 공인중개사 사무소, 일산동 부자 부동산, 부자 중개사입니다. 여러분은 혹시 모듈러 주택을 들어보신적있나요? 조립식 주택, 체류형 쉼터같은 형태지만 완벽하게 다른 내구성을 갖춘 주택을 말하는데요. 해외에서는 40층 아파트까지 모듈러 주택으로 지어졌다고 해요! 우리나라는 아직 해결해야할 몇가지 규제로 인해 사업의 성장속도가 느린편이지만 각종 정책이 자리잡아 나간다면 사업의 성장가능성이 무한대일거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모듈러 주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모듈러 주택의 모듈러 건축기법이란?

건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의 건설 기술을 의미합니다.

이 방식에서는 건물의 구조, 전기·설비, 내부 마감까지 대부분의 공정이 공장에서 사전 제작(Pre-fabrication) 되고, 이를 운송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형태로 진행됩니다.

PPVC(Pre-fabricated Prefinished Volumetric Construction) , OSC(Off-Site Construction), 패널라이징 공법(Penalized Construction)의 방식이 있습니다.

 

모듈러 건축기법 절차

 

  • 공장 제작
    • 아파트 한 유닛(거실, 방, 화장실 포함)을 통째로 하나의 박스 형태로 공장에서 만든 후, 내부 마감(전기, 배관, 타일, 창문)까지 완료합니다.
  • 운송
    • 초대형 크레인과 특수 트레일러를 이용해서 건설 현장으로 이동합니다.
    • 배로 해상 운송하기도 합니다.
  • 조립 & 결합
    • 건설 현장에서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레고 블록처럼 아파트 골조 위에 적층합니다.
    • 각 모듈을 볼트, 용접, 콘크리트 접합 등을 활용해 튼튼하게 연결합니다.
  • 완성
    • 마지막으로 내부 전기, 수도, 환기 시설을 연결하면 완성입니다.

 

모듈러 주택의 내구성은?

 

구조적으로 강한 강철·콘크리트 사용

  • 강철 프레임이나 콘크리트 박스를 사용해 일반 철근콘크리트(RC) 건축과 비슷한 내구성을 가짐.
  • 심지어 일부 모듈러 건축은 지진이나 태풍이 많은 지역에서도 사용될 만큼 튼튼하게 설계됨.

정확한 공장 제작으로 품질 균일성 유지

  • 현장 시공은 날씨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들쭉날쭉할 수 있지만, 모듈러는 공장에서 정밀한 공정을 거쳐 제작됨.
  • 용접·접합부위도 공장에서 테스트를 거치기 때문에 오히려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기 유리함.

이음새(모듈 결합부)의 보강

  • 모듈과 모듈을 연결하는 부분(조인트)이 가장 취약할 수 있는데, 싱가포르는 이를 볼트+용접+콘크리트 충전 방식으로 해결함.
  • 실제 실험에서도 전통적인 철근콘크리트 건축과 비슷한 내진·내풍 성능을 보였다고 보고됨.

해외 실사례에서 50년 이상 내구성 검증

  • 영국, 독일, 일본 등에서도 모듈러 아파트가 50년 이상 유지된 사례가 있고, 싱가포르 정부도 모듈러 건축을 장기 주택 솔루션으로 보고 있음.
  • 싱가포르에서 운영하는 모듈러 아파트는 대부분 정부 규제를 엄격히 통과한 건축물이라 믿을 만함.

 

장점과 단점은?

시공 속도가 빠름

✅ 전통적인 건축 공법보다 30~50% 이상 공사 기간이 단축됨.
✅ 공장에서 모듈(유닛)을 미리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이라 날씨 영향 없이 일정이 지켜짐.
✅ 건축 현장에서의 소음, 분진, 폐기물 발생이 줄어듦.

 

비용 절감 

✅ 공장에서 대량 생산이 가능해 원가 절감 효과가 있음.
✅ 인건비 절약: 현장 작업이 줄어들어 노무비 절감 가능.
✅ 현장에서 작업 시간이 짧아 장비 사용료와 기타 운영비 감소.
✅ 폐기물 발생이 적어 자재 낭비 비용 절감.

 

친환경적

✅ 공장에서 사전 제작하는 과정에서 건설 폐기물 발생이 적음.
✅ 에너지 효율이 높은 구조 설계가 가능하여 탄소 배출 감소 효과.
✅ 재활용이 용이한 자재 사용 가능 → 지속 가능한 건축 방식.

 

품질이 균일하고 안전함

✅ 공장 제작으로 정밀한 품질 관리 가능.
✅ 기존 현장 시공보다 오차율이 낮고 균일한 품질 유지.
내진·내풍 설계 가능 → 지진, 태풍 등의 자연재해에 대한 내구성 확보 가능.
✅ 철골·철근 콘크리트 등의 고강도 구조로 제작 가능, 기존 조립식 건축과는 차별화됨.

 

확장성과 이동성

✅ 필요에 따라 건물을 추가하거나 확장하는 것이 용이함.
✅ 기존 건물을 해체 후 다른 장소로 이동·재사용 가능(모바일 주택, 임시 숙소 등).
✅ 공간 활용도를 높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 (학교, 병원, 공공주택 등).

 


 

초기 비용이 비쌀 수 있음 

  • 공장 제작비 + 운송비가 추가되면서 전통적인 RC(철근콘크리트) 공법보다 초기 비용이 높을 수 있음.
  • 특히 우리나라처럼 모듈러 공법이 아직 대량 생산 체계가 아닌 경우,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어려워서 단가가 비쌀 가능성이 있음.
  •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공사 기간 단축으로 비용 절감 효과가 있을 수도 있음.

디자인·설계의 한계 

  • 모듈(박스) 단위로 제작되기 때문에 곡선 디자인이나 비정형 구조 건축이 어려움.
  • 복잡한 건축 형태를 구현하려면 맞춤형 모듈을 제작해야 해서 비용이 더 올라갈 수 있음.
  • 하지만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방식(모듈러 + 전통 공법)을 적용해 디자인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도 많아짐.

운송·설치 문제 

  • 모듈이 크고 무거워서 도로, 다리, 터널 등의 제한을 받을 수 있음.
  • 한국처럼 도심이 밀집된 지역에서는 대형 모듈을 운반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음.
  • 운반 중 흔들림이나 충격으로 모듈이 손상될 위험도 있음.

이음새(결합부) 내구성 문제 

  • 모듈과 모듈을 연결하는 이음새(조인트) 부분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음.
  • 특히 내진설계나 방수·단열이 부족하면 누수·균열 등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음.
  • 하지만 최근에는 볼트+용접+콘크리트 충전 등으로 보강하는 기술이 발전하는 중.

대규모 프로젝트에는 적용 어려움 

  • 일반적인 고층 아파트나 초고층 빌딩에는 적용이 쉽지 않음.
  • 모듈러 방식은 층수가 많아질수록 구조적인 문제(하중, 안정성 등)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모듈러 건축기법은 사실 osc공법 중의 하나라던데?

모듈러(Modular Construction)

  • 전체 유닛(방·거실·화장실 등)을 통째로 제작 후 현장에서 조립
  • 예: 싱가포르 PPVC 방식, 국내 모듈러 아파트

패널라이징(Panelized Construction)

  • 벽·천장·바닥 같은 부분 요소만 공장에서 제작 후 현장에서 조립
  • 예: 목조주택에서 벽 패널을 공장에서 만들어 조립하는 방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

  • 콘크리트 부재(기둥, 슬래브, 벽)를 공장에서 제작 후 현장에서 조립
  • 예: 국내 건설사들이 많이 사용하는 PC공법

3D 프린팅 건축

  • 건물의 일부나 전체를 3D 프린터로 제작 후 조립

평창 동계올림픽 선수촌 숙소, lh행복주택등이 모듈로 주택으로 이뤄지고 있기때문에 곧 아파트도 건축 가능성이 임박했다고 봐야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