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입체 공원, 녹지 공간 부족과 주차 난 해결책으로 떠오르다!

부동산.경제 정보

by 부자중개사 2025. 3. 7. 17:55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일산동 부자 공인중개사 사무소, 일산동 부자 부동산, 부자 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좁은 땅에 주차장, 공원, 아파트, 상가 만들고 싶은 게 너무 많은 나라죠. 특히나 서울은 주차난이 너무 심각한데요. 주차난과 녹지 공간 부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입체공원이라는 것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입체공원 제도

입체공원 제도는 기존의 평면적인 공원 조성 방식에서 벗어나, 도로, 문화시설, 주차장 등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상부 인공지반에 공원을 조성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제한된 토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시민들에게 다양한 녹지 공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국내 입체공원 사례

현재 서울시에서는 미아동 130번지 일대 재개발 신속통합기획 대상지를 입체공원 시범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범사업을 통해 입체공원의 효과와 가능성을 검증하고, 향후 서울 전역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입니다.

해외 사례

프랑스 파리 라데팡스(La Défense): 파리의 라데팡스 지역은 지하 공간을 활용하여 교통 시설과 주차장을 지하화하고, 지상부는 보행자 전용 공간과 공원으로 조성한 복층 구조 도시로 유명합니다.

 

일본 도쿄 롯폰기 힐스(Roppongi Hills): 도쿄의 롯폰기 힐스는 대규모 복합 개발 단지로, 지하에 주차장과 교통 시설을 배치하고 지상에는 공원과 상업 시설을 조성하여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입체공원 장단점

장점

    • 공간 효율성: 지하 주차장을 활용하면 지상 공간을 녹지나 공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도시 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환경 보호: 지상부를 녹지 공간으로 조성함으로써 도시 생태계를 보전하고, 시민들에게 쾌적한 휴식 공간을 제공합니다.

 

    • 안전성: 차량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도난이나 손상 위험이 줄어들며, 기상 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아 쾌적한 주차 환경을 제공합니다.

 

단점

    • 높은 건설 비용: 지하 주차장 건설은 지상 주차장에 비해 공사 비용이 높아 초기 투자 부담이 큽니다.
    • 환기 및 안전 문제: 지하 공간 특성상 환기, 조명, 화재 안전 등의 추가적인 관리와 비용이 필요합니다.
    • 접근성: 지하 주차장은 진출입로의 설계에 따라 이용자의 편의성이 좌우되며, 잘못된 설계는 접근성을 저하할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사업과 차이

 

  • 공간 활용 방식
    • 입체공원: 기존의 공원을 3차원적으로 확장하여, 지하는 주차장·시설물, 지상은 공원으로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기존 도시 기반 시설을 입체적으로 재설계하는 개념에 가깝습니다. 즉 맨 땅에 새롭게 건물처럼 올리는 방식입니다.
    • 도시 재생: 기존에 방치된 폐철도를 공원이나 산책로로 바꾸는 등 토지의 새로운 용도를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 목적
    • 입체공원: 부족한 공원 및 주차 공간을 동시에 해결하는 실용적 목적이 강합니다.
    • 도시 재생: 낙후된 공간을 활성화하고 지역경제를 살리는 도시재생의 개념이 강합니다.
  • 대표적인 사례
    • 입체공원: 서울 미아동 시범사업, 프랑스 라데팡스, 일본 롯폰기 힐스
    • 도시 재생: 뉴욕 하이라인 파크, 서울 경의선 숲길, 부산 그린레일웨이

 

초기 비용은 입체공원이 많이 들지만, 부족한 녹지와 주차 난을 동시에 해결가능하다는 점에서 성공 사례가 많이 나오길 기대해 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